안녕하세요😊 매일 더 나은 자기성장을 위한 플랫폼, 커넥터즈 에디터 경아입니다🙇♀️
‘자기성장’이 주제인 플랫폼 인만큼 관련한 다양한 주제에 대해서 전달 드리려고 합니다.
오늘 주제는 ‘웰니스’입니다.
‘웰니스’ 다들 어디서 많이 들어보셨죠?
웰니스는 단순히 살을 빼고 체력, 몸매를 관리하여 얻는 ‘신체적 건강’ 뿐만 아니라 ‘정신적, 사회적 건강’까지 얻는 라이프스타일을 말하는데요!
웰빙(well-being)과 피트니스(fitness)를 결합한 신조어를 뜻합니다.
미국 비영리 기관인 글로벌 웰니스 인스티튜트(Global Wellness Institute)에 따르면 코로나19 이후 전 세계적으로 웰니스 관련 시장이 급격히 성장하고 있습니다.
그중 국내 웰니스 시장 규모는 2022년 9월 기준 세계 8위(약 940억 달러)를 차지할 만큼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스스로 건강에 대해서 체중 관리 및 스트레스 관리 등 건강 상태를 꾸준히 관리해야 함을 인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웰니스에는 관광, 뷰티, 마인드, 피트니스, 헬스, 먹거리 등 다양한 영역이 포함되어 있어요!
오늘 포스팅은 웰니스 중에서도 신체적 및 정신적 건강 관련 이슈들을 살펴볼 예정이에요.😊
헬시 플레저 : Physical Wellness, Nutrition Wellness
대학내일 20대 연구소의 ‘2021년 MZ 세대의 여가 생활과 자기개발 트렌드 보고서’에 따르면 MZ 세대가 생각하는 자기개발 영역 탑 5에서 신체 건강관리가 72.2%를 차지했다고 하네요!
꼭 MZ 세대가 아니어도 제로 음료, 디카페인 등의 수요가 늘어난 걸 보면 건강 관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어요!
헬시플레저는 ‘지속 가능한 건강관리’를 추구하는데요. 예전에는 건강 관리가 ‘인내와 절제’를 추구했다면 지금은 ‘즐거움과 편리함’으로 변했다는 건데요!
운동 시설에 대한 수요 증가
코로나19 이후 건강을 챙기면서 운동시설에 대한 수요도 급증했습니다!
2023년 5월 18일 기준으로 신한카드가 MZ세대의 소비문화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상반기 주요 운동 영역별 MZ세대의 이용액은 2019년 상반기 대비 온라인 PT가 373%, 테니스장 336%, 실내외 골프장 202%, 스포츠센터가 150% 증가했다고 하네요!
이처럼 운동 시설을 다니는 것도 자신의 건강을 챙기는 문화가 된 것처럼 자신을 위한 소비에 높은 금액을 과감히 지불하는 성향도 보입니다.
로우 푸드(low food) 증가
다이어트를 할 때 두부 면 파스타나 곤약 밥처럼 맛은 살리고 당·지방·나트륨 등을 줄인 로우 푸드(Low Food)를 활용하고 있어요
당은 심장병, 뇌졸중, 비만, 당뇨 등을 유발하는 주원인이기에 이러한 당을 대신할 제로, 저당, 저칼로리 식품을 찾는다고 볼 수 있어요!
군것질을 끊을 수는 없고, 먹고 싶지만 당을 최대한 적게 먹고 싶은 사람들의 니즈가 반영된 트렌드라고 볼 수 있죠!
지금의 행복에 집중하고, 스스로의 삶과 몸에 만족을 추구하는 ‘헬시 플레저’는 어쩌면 건강한 자기개발의 양상을 나타내는 것 같습니다!
리추얼 라이프
리츄얼 라이프는 규칙적인 습관을 통해 일상을 가꾸는 것을 의미하는데요
MZ 세대가 자신만의 루틴을 만들어 지속적으로 건강을 관리를 하는 라이프스타일을 말합니다!
출처 : unsplash
리추얼 라이프는 코로나 블루로 인해 무력감을 극복하고자 시작한 트렌드인데요!
생활 속에서 쉽게 실천할 수 있는 활동을 통해 일상에 활력을 주고 심리적 만족감과 성취감을 얻으려는 MZ 세대의 모습이 반영되었다고 할 수 있죠
대표적으로 미라클 모닝, 오운완(오늘 운동 완료), 독서하기 등이 있죠!
누가 보면 사소한 일처럼 보여도 자신과의 약속을 지킴을 통해 삶의 활력과 자신감을 되찾는 라이프가 중요해짐을 볼 수 있습니다.
마음 챙김 : Mind Wellness
출처 : unsplash
대학내일 20대 연구소의 ‘2021년 MZ세대의 여가생활과 자기개발 트렌드 보고서’에 따르면 MZ 세대가 생각하는 자기개발 영역 탑 5에서 2위는 정신건강 관리(59.3%)입니다.
이처럼 위에서 설명한 신체적인 건강 외에도 정신적인 건강을 챙기는 MZ 세대들이 늘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죠.
수면, 우울, 불안 등 기분에 따라 다양한 명상 사운드를 제공하는 앱 ‘마보’ 이용자는 66%가 MZ 세대라고 하네요!
마보 앱을 통한 MZ세대의 평균 명상 시간은 32분으로, 이들은 다른 연령층에 비해 3배 이상 앱을 길게 이용하고 있었습니다!
화상채팅으로 다른 사람과 함께 참여하는 심리 워크숍, 전문가와의 비대면 심리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는 멘탈케어 앱 ‘트로스트’도 86%의 이용자가 MZ 세대라고 합니다!
웰니스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MZ 세대 분들을 위한 자기개발 서비스
오늘은 웰니스 중 신체적 및 정신적 건강과 관련된 이슈를 살펴봤어요!
이처럼 계속해서 웰니스 산업이 떠오르고 있는 만큼, 저희 팀은 몸 건강, 마음 건강과 관련된
전문가 MD들을 통한 서비스를 준비 중에 있답니다!
이외에도 자기개발 관련 분야인 재테크, 어학, IT 등등
다양한 콘텐츠를 준비 중에 있으니 기대해 주세요!
앞으로도 저희 커넥터즈는 플랫폼 개발에 대한 최신 소식도 전달 드리겠습니다!
다음 편에도 유익한 포스팅으로 만나요🥰